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줄거리
미스터리 작품 상을 받은 일본 아키라 작가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된 넷플릭스 영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알아보겠습니다.
장편 영화로 처음 개봉하는 김태준 감독은 일본 영화로 제작된 영화는 성공하지 못하였으나 한국에서 리메이크 하며 한국 실정에 맞게 조정하고 연기파 배우들의 열연으로 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나미(천우희)는 블랙 아웃 되도록 술을 마시고 나서 스마트폰을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튿날이 되서야 그 사실을 깨닫게 됐습니다.
그리고 본인의 스마트폰에 전화를 걸고 여자가 받아 안심하였으며 실수로 액정을 깨트려서 수리를 맡기고 수리 비용까지 내고 찾아가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번번이 소름 끼치는 일들이 벌어 지고 있습니다. 범인인 오준영(임시완)은 음성을 바꾸고 일부로 스마트폰을 고장 내고 수리하러 온 이나미에게 비밀번호를 알아낸 뒤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 했습니다.
오준영은 그녀의 카메라로 모든 것을 지켜보며 인간관계 등 일상생활 전반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나미의 인간관계를 악화 시켜 회사에서 직장 동료들과 다투게 되고 아버지와 이간질을 통해 역시 싸우면서 떨어진 아버지에게 문자를 보내 아버지 핸드폰 역시 프로그램 설치를 끝냈습니다.
가장 가까운 친구인 은주를 의심하게 하여 사이를 멀게 하고 그녀의 인간관계가 모두 망가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했습니다.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지만 경찰은 증거가 없으며 주인공 혼자서 범인을 잡으려 하는데 때마침 한 사건을 추적하는 경찰이 자신의 아들을 의심하면서 접점이 생기는데, 그녀를 이용해 체포하려고 이용했습니다.
위기에 처한 그녀 앞에 형사들이 나와 구해주게 되는데, 임시완의 사이코 역할과 천우희의 피해자 역할의 감정이입은 영화에 몰입하게 되며 스마트폰 범죄에 대해 다룬 영화이었습니다.
원작과 다른 점과 여담
원작에서는 주인공 남자친구가 스마트폰을 잃어버리게 되었으며 기종은 안드로이드 폰이 아닌 iphone이었다는 점이 달랐습니다.
남자친구는 아예 나오지도 않으며 원작에 있는 반전 이야기 역시 삭제 되었습니다.
속편에서는 경찰이 주인공 이었지만 한국에서 개봉된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영화는 역할이 축소되어 속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원작은 주인공이 계약직 사무원이지만 리메이크 작품은 스타트업 사무원입니다.
덕분에 회사에서 위기를 맞게 되며 원작에서는 여주인공의 아버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촬영 때는 극장에서 개봉하려 했으나 넷플릭스 등급을 신청하고 결국에는 넷플릭스를 통해 개봉 되었으며 천우희, 임시완, 김희원은 해당 작품에서 처음으로 같은 영화에 등장한다고 했습니다.
김태준 감독의 상업 영화로는 처음으로 데뷔하며 “심증”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크리에이터 발굴 지원 사업에서 선택 되어 바로 영화화를 논의 했습니다.
원래는 수애와 서예지 배우가 주인공 역할을 하려고 했으나 조여정까지 후보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촬영 일정으로 계속 연기되다가 감독은 오랜 시간 동안 각색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극 중에서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육식동물에게 잡아 먹힐 거 같다라는 대사에서 임시완은 재규어 같이 자신을 노리며 위험에 처 있음을 암시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극 중에서 주인공이 사용했던 핸드폰의 기종은 s20fe이며 디자인이 살짝 다른 것은 합성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사담
스마트폰을 소재로 한 영화 완벽한 타인과 더불어 스마트폰에 많은 것이 담겨있어 영화를 보는 내내 공포를 느끼며 다시 한번 현대사회의 스마트폰의 의미를 되새기게 되는 계기가 됐습니다.
특히 새벽의 저주와 같은 상상의 이야기가 아닌 주변에 있을법한 현실적인 도시 괴담 이야기이며 사회적으로 매장되는 모습이 보는 사람에 따라 특히 공포스러웠다는 평이 있습니다.
제목만으로는 공포 영화인지 헷갈리는 제목으로 모르고 봤을 때 무서울 수 있으며 배우의 연기력 역시 집중하는데 한 몫 하지만 스토리 이상의 반전이나 크게 변화되는 전개가 없어서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